직업상담96 늘 취업이 되는 사람, 오랜 기간 취업이 안 되는 사람 늘 취업이 되는 사람, 오랜 기간 취업이 안 되는 사람 취업관련 기관에서 일을 하다 보면 꽤 자주 재등록을 하는 사람들을 본다. 그런데 패턴이 꽤 재미있다. 늘 재취업이 되서 나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늘 서비스 기간이 지나도록 취업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개 취업이 잘 되시는 분들은 두 가지 특징이 있다. 하나는 타협이 잘 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함께 대화를 하면 편하다. 먼저 타협의 문제를 보자. 재취업의 문제는 결국 어느 선에서 타협을 할 것인가라는 문제와도 일맥상통한다.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면 좋으련만 사람 일이 어디 그런가. 어느 부분은 마음에 안 맞아도 양보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 근무환경, 근무시간, 급여, 사람문제까지...그런데 이 부분에서 참 예리하게도(?) 모든 것을 잘 보시는 .. 2013. 4. 10. 구조조정 한파는 계속된다 오마이 뉴스의 지난 20일자 인터넷판 신문에 따르면 구조조정이 이미 IMF시기에 육박하고 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1998년의 정리해고 숫자가 12만3834명이었던데 반해 지난 2011년 '경영상의 필요에 의한 퇴직자'는 10만3274명 수준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거기에 고용보험 비자발적 퇴직자의 숫자는 2012년을 기준으로 223만0935명으로 집계되었다니 고용보험이 되지 않는 영역까지 합하면 그야말로 힘든 시절을 지나고 있는 셈입니다. 이런 상황은 아마도 올해 별로 나아지지 않을 듯 합니다. 새로운 정부에서도 노력을 기울이겠지만 늘 아쉬운 것은 이런 대부분의 노력들이 '숫자채우기'로 흐를 가능성이 많다는 것입니다. 이럴때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것이 일자리의 질적 저하입니다. 사실 중장년층의 경우도 일자.. 2013. 3. 21. 시니어 재취업 핵심 팁 세번째, 온라인 구인정보의 검색과 활용 온라인 구인정보 검색과 활용의 기술 ‘재취업과 관련해 일자리를 찾는다’라는 전제가 붙으면 사람들이 하는 가장 흔한 행동이 무얼까? 내가 아는 한 사람들의 가장 일반적 행동은 온라인 취업 사이트를 뒤지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러하다면 당신의 구직활동이 그들과 무엇이 다른가? 이미 언급했듯이 4050 재취업의 Key는 '평판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킹'이다. 그 다음은 적극적인 행보를 기반으로 한 공격적인 구직활동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그 다음으로 온라인 사이트 검색과 관련해서는 누구나 하는 취업포털 몇 개, 혹은 워크넷만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온라인 사이트 검색이나 활용에도 노하우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 몇 가지 팁을 공개해 본다. - 전문영역이라면 협회 홈페이지를 활용하.. 2013. 3. 5. 1인 회사/ 수희 향 著 책을 말하다> 가장 먼저 이 책을 읽고 난 느낌은 ‘꽤 구체적이다’라는 것이다. 보통의 1인 회사, 1인 기업과 관련된 책들이 주장하는 것은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준비하고 떠나라’는 식의 두루뭉술한 얘기가 많다. 사실 두루뭉술하게 얘기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있지만, 나름 이 책은 1인 회사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경제적 문제와 관련된 이야기나 책 쓰기, 혹은 커뮤니티 활용 등은 상당히 공감이 가는 부분이었다. 저자는 변화경영연구원 출신이니 ‘글을 잘 쓰는’ 능력은 이미 어느 정도 검증이 되었을 터이지만, 영화를 활용해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식 역시 독특하고 참신했다. 다만, 나름의 의미를 가진 좋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1인 회사, 특히 지식기반의 1인 회사를 운.. 2013. 2. 1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