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96 현행 면접제도, 의미가 있을까? 개인적으로도 그렇고, 일과 관련해서도 그렇고 숱한 면접과 관련된 고민을 하게 된다. 사실 최근에도 면접은 점점 강화되는 분위기라 어떤 취업관련 커리큘럼을 봐도 면접은 반드시 포함된다. 하지만 너무나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는 면접이 꽤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는 사실을 나는 떨쳐버릴 수 없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현행의 일반적 면접은 거의 무용(無用)에 가깝다고 본다. 첫째> 현행 면접제도하에서는 구직자의 정확한 속내보다는 겉으로 드러난 포장만을 평가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훨씬 많다. 특히나 '배우기질'이 있는 구직자의 경우는 좀 더 강점을 인정받을 수밖에 없다. 나는 나름 뛰어난 재능을 가진 친구가 한번 본 면접에서 주눅이 들어, 이후로 점점 면접을 볼 때마다 악화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적어도 현행 면접.. 2010. 4. 27. 상사와의 불화에 대한 부하직원의 시도 직장내 인간관계에 대해 상사와 부하직원의 불화는 일상적인 직장의 풍경이다. 대개 상사란 존재가 부하직원과 친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관리를 위해 존재하는 이와 관리를 받으며 실무를 책임지는 이의 간극이고, 또한 우리 사회의 권위적인 측면이 더해져 빚어지는 모습이기도 하다. 불일치나 소화하기 힘든 불화가 발생하면 직원은 어떤 행동을 하게 될까? 먼저, 통상적으로는 맞추려는 시도를 먼저 하게 된다. 아무래도 상사가 부하직원에 맞추는 것보다는 일반적인 형태일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쉽게 변하는 존재가 아니므로 흔하게 실패로 가는 경우가 많다. 그 후, 부하직원은 이른바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 멀리도 하지 않고, 가까이도 하지 않는)의 업무적 관계를 추구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관계전통상 이런 것이 잘 먹.. 2010. 4. 14. 휴식이 주는 것 10MvjcMTsgu9Gx4Rn8gaIBUmygn 왠지 우리 주변에 있는 휴식은 마치 바람과도 같아서 잡힐 듯 잡힐 듯 하지만 막상 지나고 보면 휴식을 취한 느낌을 우리는 가지지 못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세상은 이제 주 5일제가 정착이 되어가고 있고, 절대적으로 보면 우리 아버지세대나 이전 세대와 비교해서 너무도 현격하게 휴식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은 늘어났건만, 어째서 우리는 아직도 늘 ‘바쁘다’, ‘짬이 없다’, ‘쉬고 싶다’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아야 하는 것일까? 필자가 생각건대, 그것은 한국인에게 근세에 들어 뿌리박힌 잘못된 놀이관념 때문이 아닐까 한다. 흥취와 만취의 차이를 구분못하는, 행사와 휴식을 구분못하는, 쉼과 늘어짐의 차이를 구분못하는 어리석음이 가져온 우리 시간의 박탈감은 그런 잘못.. 2010. 3. 30. 자기평가 그리고 스펙 냉정한 자기 평가란 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심지어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도 회사의 전방위 평가를 해보면 전체 직원 중 50%는 스스로 경쟁력이 있다 판단하지만 회사에서는 단지 20% 정도만이 실제 필요한 사람이라 판단한다지 않는가. 미처 세상 경험을 하지 못한 젊은이들의 경우 냉정한 자기 평가를 바라는 것은 이미 그 자체가 무리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근에는 자신들의 평가를 도와줄만한 기관들이 많이 있다. 학교 경력개발센터나 취업 지도실 등이 있고 그 외에도 정부 지원의 많은 단체들이 있다. 왜 한번쯤 스스로의 경쟁력을 평가받아 보지 않는 것일까. 잠깐 옆길로 빠지는 얘기지만 학생들에게 자신에 대한 심리검사나 적성검사 등을 했는지 물어 보면 거의 80% 이상은 검사를 받았다는 말을 듣는다. 하지만 .. 2010. 3. 15.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