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51 프리랜서가 성공하기 힘든 이유 규제란 조직의 구성원이 특정 상황에서 일정한 행위를 하도록 명하는 일반 명제(命題)라고 한다. 대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수적인 요건들을 정해놓은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규제는 어떤 조직이든 운영을 해나가면서 필수불가결한 것일 수밖에 없다. 개인은 어떨까? 개인 역시 이러한 규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단순하게는 하루를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것들이 있다. 규칙적인 식사, 수면, 해야 할 일 등등... 사실 모든 사람들은 어차피 규제가 수반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단지 그것이 자기 스스로 규제를 하는가, 혹은 타의에 의해 규제되는가의 차이만 있는 셈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는 대부분 자율적인 규제 속의 삶을 꿈꾸지만, 실제로는 타의에 의한 규제를 훨씬 편하게 생각하고 잘 따르는 경.. 2010. 7. 20. 40대와 50대 재취업에 대한 제안 40대와 50대 취업, 창업에 대한 컨설턴트의 제안 일반적인 40대와 50대 시니어들의 재취업 관련 흐름을 앞서 봤습니다. 물론 이건 개인차가 크지요. 훨씬 현명하게 대처를 잘 하는 분들도 꽤 됩니다. 여기서는 이러한 잘 된 케이스의 흐름을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 첫 번째로, 시장에서의 자신의 가치를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이러한 확인이 재직 중 진행된다면 더 좋죠. 일반적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헤드헌터를 활용해 보는 것입니다. 몇 번의 간단한 상담과 반응을 보면 느낌이 오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2~.. 2010. 7. 9.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춘들은 어디로 가야하나? 청년 실업의 어려움 조선닷컴에서 한국고용정보원에 의뢰, 전국 342개 대학의 2005년 2월 졸업생(2004년 8월 졸업생 포함) 50여 만 명 중 2만6544명을 표본 추출해 졸업 후 4년(2008년)까지의 사회진출 경로를 추적한 결과를 발표했다.(2010년 7월 7일) 그런데 그 결과가 좀 암담하다. 졸업 후 2년이 지나도록 상용직(1년 계약 이상 일자리)을 구한 경우는 열 명 중 여섯 명(64%)에 불과했다. 1~2년 단위로 계약하는 비정규직이 다수 포함된 수치라고 한다. 개별 수치로만 약 10만이 넘는 학생들이라고 한다. 취업 준비에 여념이 없는 학생들 이미 오늘날의 대학졸업생들이 제대로 된 사회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단순 역량으로 따져도 이전에 비해 우수하기 그지없는.. 2010. 7. 7. 40대와 50대, 어떻게 재취업의 과정을 밟을까? 40대, 50대 재취업의 일반적 흐름에 대해 4050세대의 퇴직은 어떤 이유로든 당사자에겐 상당한 부담과 충격으로 다가온다. 특히, 그것이 본인의 자발적인 의도가 아닌 경우는 더 말할 필요가 없다. 한참 돈이 들어갈 나이의 자녀들을 두고 있을 그들은 아마도 많은 경우 생애임금의 피크점에 있다가 퇴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퇴직 시에 제대로 된 준비를 해놓지 않은 경우라면 갑작스레 달라진 고용시장의 상황, 그리고 자신이 생각하는 시장가치와 시장의 냉정한 평가, 거기에 가정과 사회, 양 면에서 더 해지는 심리적인 압박감 등에 자칫 허물어지기 십상이다. 이에 대해 두 차례로 나눠 40대, 50대의 재취업과 관련한 일반적 프로세스(흐름), 그리고 대안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1. 40대,50대 재취업.. 2010. 7. 7. 이전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