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6 1인 출판에 도전하는 틔움 출판사 장인형 대표 1인 출판사 틔움 장인형 대표와의 짧은 인터뷰.... 출판이란 분야는 책을 좀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관심을 가져볼 만한 분야이다. 이전에는 분명히 이 분야도 아는 사람만 진입할 수 있는 곳이었으나 최근의 정보개방과 아웃소싱 등으로 인해 출판 역시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다양한 주변을 활용해 진입할 수 있는 분야가 되었다. 그 과정에 나타난 것이 1인 출판사다. 이미 온라인 1인 출판 카페인 1인 출판사를 꿈꾸는 사람들의 모임인 네이버의 ‘꿈꾸는 책공장’의 경우 회원 수가 5100명을 넘을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사실 1인 출판의 경우, 진입은 쉬워졌지만 반대로 성공은 예전보다 더욱 어려워진 듯하다. 그나마 1인 출판의 스타업체들을 보면 대개 편집장 출신이거나 기자 출신인.. 2010. 7. 28. 조선 왕을 말하다/ 이덕일 著 작가에 대해: 이덕일이란 작가는 드물게도 대중적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작가라고 평해진다. 개인적으로는 구본준의 ‘한국의 글쟁이들’이란 책을 통해 이덕일이라는 작가에 대해 처음 접했었고 나름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사실 그의 글은 처음 읽는 것이었다. 굳이 ‘뚜렷한 관점과 흡입력 있는 문체’란 작가 소개를 인용하지 않아도 그의 글은 실제로 쉽게 잘 읽히며 그 속에 작가의 생각이 흥미롭게 잘 녹여져 있다.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를 시작으로 ‘조선왕 독살사건’, ‘사도세자의 고백’, ‘조선최대 갑부 역관’,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등 제목만으로도 관심이 가는 다양한 역사관련 저작이 많은데, 모 출판기획자의 평에 따르면 ‘어느 정도 민족주의적인 사관에 기초하면서도 실증적 자료를 잘 활용하는, 접근성이 있는.. 2010. 7. 26. 구본형의 필살기/ 구본형 著 구본형의 필살기, 우리는 정말 필살기를 터득할 수 있을까? Ⅰ.책을 읽고 ‘평생 현역에서 차별화된 전문가로 일할 수 있는 비법을 전수해준다’, ‘대한민국 직장인들이여, 탁월한 프로로 진화하라’ 는 등의 유혹적인 카피가 아니라도 충분히 관심히 가는 것이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소장의 책들이다. 개인적으로 길을 잃고 헤매던 시절 내게는 정신적인 등대가 되어주었던 많은 전작(前作)들을 기억하기에 이번에도 무척 기대를 했었다. 원래 그의 글은 상당히 은유적이고 관념적인 편이었다란 생각을 가지고 있다. 좀 심하게 말하면 지나치게 현란하여 때로 사변적(思辨的)이란 생각이 들 때도 있었다. 아마도 그의 끝을 헤아리기 힘든 생각의 깊이가 그러한 느낌을 준 것이었을텐데 언제부턴가,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아마도 전작 ‘THE.. 2010. 7. 22. 프리랜서가 성공하기 힘든 이유 규제란 조직의 구성원이 특정 상황에서 일정한 행위를 하도록 명하는 일반 명제(命題)라고 한다. 대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수적인 요건들을 정해놓은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규제는 어떤 조직이든 운영을 해나가면서 필수불가결한 것일 수밖에 없다. 개인은 어떨까? 개인 역시 이러한 규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단순하게는 하루를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것들이 있다. 규칙적인 식사, 수면, 해야 할 일 등등... 사실 모든 사람들은 어차피 규제가 수반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단지 그것이 자기 스스로 규제를 하는가, 혹은 타의에 의해 규제되는가의 차이만 있는 셈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는 대부분 자율적인 규제 속의 삶을 꿈꾸지만, 실제로는 타의에 의한 규제를 훨씬 편하게 생각하고 잘 따르는 경.. 2010. 7. 20. 이전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