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도영의 뷰포인트169

최후통첩 게임 최후통첩 게임: 독일의 사회학자 베르너 귀스에 의해 만들어짐 공돈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 만약 전제가 이렇다면 우리는 모두 100이면 100, 이 돈을 가지리라고 응답할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인간의 심리란 참 묘하다. 여기에 ‘타인’이라는 존재가 끼어들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100만원이 있다고 하자. 당신은 아무 노력 없이 공돈으로 다른 사람(A라고 칭하자)과 함께 이 돈을 나눠가질 수 있다. 물론 당신이 동의해야 한다는 전제에서다. 당신이 거부하면 이 돈은 어느 누구도 받을 수 없다 A가 당신에게 50만원을 제안한다면 당신은 이 돈을 받을 것이다. 그보다 더 주면 더 해피해 질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만약 A가 당신에게 30만원을 주고 자신이 70만원을 갖겠다면 어떻게.. 2013. 6. 2.
진정한 여행_ 나짐 하크메트 가장 훌륭한 시는 아직 쓰이지 않았다. 가장 아름다운 노래는 아직 불러지지 않았다. 최고의 날은 아직 살지 않은 날들 가장 넓은 바다는 아직 항해되지 않았고 가장 먼 여행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불멸의 춤은 아직 추어지지 않았으며 가장 빛나는 별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별. 무엇을 해야 할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때 그때 비로소 진정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때 그때가 비로소 진정한 여행의 시작이다. 나짐 하크메트, 2013. 5. 6.
잠시 잠깐의 사유(130430) - 왜 누군가는 희망이 아닌 절망을 전하는데 익숙하고 적극적일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그건 자신만 그렇게 하기에는 너무 힘들고 서러운 탓이고, 내가 너무 아프다는 것을 누군가는 알아줬으면 하는 바람일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저마다 너무 여유가 없다. 절망으로 굳어진 이에게 손을 내밀 만큼 ‘좋은 사람’을 만나기란 정말 어렵다. - 아주 작은 태도에서도 삶은 묻어 나온다. 강의를 듣는 사소한 태도, 타인과 대화하는 짧은 모습에도 그 사람의 역사와 상황이 묻어나올 때를 많이 본다. 오류는 있을 수 있지만 사람들의 직관이란 그 길지 않은 시간에도 한 사람에게서 꽤 많은 것을 잡아낸다. 아쉬운 것은 우리가 매일의 작은 일상이 모여 나 자신의 역사를 만든다는 사실을 곧잘 잃어 버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이 .. 2013. 4. 30.
사무엘 울만의 '청춘' 너무나 유명한 시, 사무엘 울만의 '청춘'입니다. 묘하게 이제는 조금씩 '진짜' 실감을 하는 싯구들입니다. 최근 찍은 사진 중에 마음에 드는 사진이 있어 함께 올려봅니다.^^ ------------------------------------------------------------------------------ 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 마음가짐을 뜻하나니 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 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 그리고 인생의 깊은 샘에서 솟아나는 신선함을 뜻하나니 청춘이란 두려움을 물리치는 용기, 안이함을 뿌리치는 모험심, 그 탁월한 정신력을 뜻하나니 때로는 스무 살 청년보다 예순 살 노인이 더 청춘일 수 있네. 누구나 세월만으로 늙어가지 않고 이상을 잃어.. 201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