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6 평범하지만 좋은 습관에 대해 삶을 바꿀 수 있는 작지만 강한 요소들... 작은 노력이지만 삶을 바꿀 만한 기본적 습관을 몇가지 만들어 보고 싶었다. 그래서 생각한 몇가지, 쉽지만 꼭 필요한 것들. 5시 기상, 11시 취침/ 하루 세끼 꼭 먹되 저녁은 간단히/ 일요일은 딴 거 안하고 가족과 놀고, 토요일은 내 역량계발을 위해 쓰기, 새벽시간은 나를 위해 중요한 일 하기 등등, 기타 3~4가지...를 준비했다. 그런데, 이게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 삶이라는건 살아가면서 생긴 관성이란게 있다. 기존의 것이 좋든, 나쁘든 익숙함이 만든 편안함, 일종의 관성이라 할만 하다. 기상 시간 30분을 당기는 것이나 시간을 지켜 취침하는 것이나, 혹은 저녁을 좀 줄여보자는 것처럼 오로지 의지만으로 될 만한 사항들이었는데도 참 쉽지 않다. 마치 하루 .. 2010. 3. 12. 설득에 대한 단상 설득의 5가지 요소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에 관한 법칙 중에 유명한 메라비안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비언어적 표현의 중요성이 얼마나 커뮤니케이션에서 심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것인데 대개 말의 내용과 음색, 그리고 비언어적 표현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영향력을 살펴본 것에 대한 결과이다. 놀랍게도 그 결과는 우리의 일반적 예상과는 달리 말의 내용에 대한 영향력은 불과 7% 정도에 지나지 않고, 음색이 37%, 그리고 결정적으로 비언어적 표현이 56%의 설득력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흔히, 경청, 눈 맞춤, 고객 끄덕임 등으로 대표되는 비언어적 표현은 당연히 설득력이란 부분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나는 비언어적 표현에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을 더 하고 싶다. 그것은 유니폼, 혹은 커뮤.. 2010. 3. 4. 고령자 취업의 첫번째 필요조건은? 연합뉴스에 따르면 건국대 사회복지학과 이남경씨의 석사학위 논문 '고령구직자와 고용주의 취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취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고용주와 고령구직자간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줬다고 한다. 참고로 이 논문은 이씨가 서울시 고령자 취업알선센터와 노인복지센터 등을 이용자 중 55세 이상 구직희망자 191명과 2008년 실버취업박람회에 참여했던 구인기업 229곳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라 한다 여기서 고용주들은 고령자 취업의 제일요건을 '건강상태'로 들었다. 그리고 이어서 청결과 외모,나이 등을 들었다. 이전 직장의 직위나 임금, 실업기간은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낮게 나왔다. 이에 비해 구직자들은 연령, 건강상태, 청결상태 등을 들었다고 한다. 사실 건강상태, 청결, 외모 등의 이면에 .. 2010. 2. 20. 중장년층 프리터 증가에 대한 생각 컨설턴트가 바라 본 3040프리터 증가의 문제.............. 최근 30대와 40대 프리터(프리와 아르바이터의 결합어로 주로 일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회인 아르바이트로 자유롭게 살아가는 사람들. 선택적 삶의 의미가 강하다)가 증가하고 있다는 언론기사가 있었다. 이미 2008년 통계청 기준으로 200만 명 선이었고, 2009년말 기준으로는 230만 정도를 헤아리지 않겠느냐는 기사였는데 이를 보며 든 생각을 옮겨 본다. ※ 도표는 한겨레 2010년 1월 27일자 발췌 한국에서 프리터들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비자발적인 경우가 절대 다수라는 사실이다. 장기실직 시 잠시라도 수입을 만들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가 대표적인데 이 경우 의외로 쉽게 복직을 하지 못해 장기적인 프리터 생활을 .. 2010. 1. 31. 이전 1 ···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