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9 공연(컨벤션)기획자의 세계(설문인터뷰) 1.주로 어떤 일을 하게 됩니까? 공연 기획자는 공연을 기획하여 공연을 하기까지의 전반적인 업무를 다 하게 됩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언제, 어디서, 무엇을(무슨 공연을?), 어떻게(예산), 왜(공연의 목적)를 기초로 기획을 합니다. 우선 어떤 훌륭한 기획도 돈이 있어야 공연을 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예산 수립을 위해 공연과 관련이 있는 업체 및 기관에서 예산 지원을 받도록 합니다.(여기서 주최와 후원이 정해집니다) 예산이 정해지면 공연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타임테이블을 작성하여 순차적으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하드웨어(장소 섭외, 스텝 구성, 배우, 무대 장치,...등등)를 정하고 모든 것이 확정이 되면 가장 중요한 홍보를 시작하게 됩니다. 공연 기획자는 계획을 세우는데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잘.. 2011. 11. 18. 이숙영 아나운서의 인천시민 무료특강 SBS 파워FM의 진행자인 아나운서 이숙영님의 강의가 있습니다. 무료강연이구요. 중장년에게 보내는 그녀만의 통통(?)튀는 메시지라고 합니다.^^ 누구나 손에 손잡고 오실 수 있습니다. 2011. 11. 17. 행복의 조건/ 조지 베일런트 지음 책을 말하다> 사람의 행복에 대한 갈망은 끝이 없다. 그러면서도 지독한 편견과 모호함이 만연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그도 그럴 것이 누구나 자신만의 ‘행복론’이라 할 만한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극히 주관화될 수밖에 없는 이 영역을 과감하게도 객관적인 사람들의 삶에 대한 평생의 관찰을 통해 밝혀보려는 시도가 있었으니 그것이 이 책의 기본연구인 그랜트 연구와 터먼 연구, 그리고 이너시티 연구다. 조지 베일런트는 그야말로 세계 최장기의 성인발달연구를 통해 행복에 관해 이야기하는 하버드 의과대학의 교수로 한 평생을 그 역시 위 연구들과 함께 해 온 사람이다. 성인발달, 그리고 성공적인 노화, 그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인간의 행복에 이르는 일련의 주제를 그는 이 책을 통해 조금 복잡한 과정을 통해 아주 간.. 2011. 11. 17. 적성에 맞는 일을 하면 무조건 성공한다? 최근 TV를 보면 온통 오디션 열풍임을 느낄 수 있다. ‘슈퍼스타 K’란 프로그램으로부터 촉발된 오디션 포맷의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으면서 여기저기서 각종 비슷한 내용의 프로그램이 등장했는데 아마도 한동안은 인기몰이를 할 듯하다. 그런데 나를 놀라게 했던 것은 프로그램의 인기보다 거기에 자신의 재능이 노래에 있다고 믿고 참여한 사람들의 숫자였다. 전회의 인기에 힘입은 ‘슈퍼스타 K2’에서의 참여자는 거의 백 삼십 여만 명이라고 하니 정말 놀라운 숫자가 아닌가? 과연 그들 중에 얼마나 가수란 이름의 직업을 얻고, 또 그 중에서도 ‘성공’이란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을까를 추측해보면 참 아득한 확률이란 생각이 들었다. 몇 년 전 한 30대 후반의 여행사를 운영하던 남성 H씨와 상담을 한 기억이 문득 떠올랐다. .. 2011. 11. 15.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