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6

에릭 호퍼 자서전(Truth Imagined)/ 에릭 호퍼 著 책을 말하다> 한 사람의 인생이 이토록 독특할 수 있을까? 나는 이 사람의 이야기를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지만 실제로 그의 책을 접해 본 것은 처음이다. ‘떠돌이 철학자’, ‘부두노동자이자 독학한 철학자’, ‘사회철학자’, ‘프롤레타리아 철학자’ 등으로 불리던 그의 삶은 평생을 육체적 노동으로 보내면서도 책과 사색,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통찰을 통해 미국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사상가이자 작가의 삶이었다. 흔히 인용되는 그의 삶은 이렇다. 뉴욕에서 독일계 가구제조공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5세의 나이에 어머니와 계단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2년 후 그는 시력을 잃었고, 어머니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후 사실상 가정부의 손에 자라다시피 한 그는 15세에 기적적으로 잃어버린 시력을 회복한다. 이때부터 그.. 2011. 12. 15.
대기업 직원을 바라보는 중소기업의 시선 얼마 전 수도권의 기업체 간담회에서 한 인사담당자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합니다. “대기업 출신은 중소기업에서는 사실상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구요. 여러 가지를 시사하는 말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대기업에서 퇴직한 많은 분들, 그 중에서도 연령이 좀 있으신 분들의 공통된 표현은 이렇습니다. “이제 저를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에서 도움을 주고 싶다”....‘도움’이라...글쎄요. 사실 말이란 것이 곡해가 많을 수 있다 보니 그대로 옮기다보면 문제가 많습니다. 위의 경우들도 그러하지요. 아마도 서로의 의견들은 그냥 깊이 생각하지 않고 단순한 단편적 의견의 표출이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한 가지는 충분히 이해할만 합니다. 그것은 양쪽의 서로에 대한 시각차이, 혹은 온도차이입니다. 중소기업.. 2011. 12. 13.
아름다운 마무리/ 법정 著 책을 말하다> 사실 법정 스님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무소유’로 대표되는 수필작가이자, 시민운동을 하기도 한 종교계의 큰 스님 정도였다는 피상적 사실이 내가 아는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이 들어 잠시 그 유명한 수필 ‘무소유’를 손에 들었다가 무슨 이유인지 그나마 잠시 읽다 손에서 놓은 기억이 전부이다. 독서모임의 책으로 선정이 되어 모처럼, 아니 사실상 처음 읽게 된 법정스님의 책, 그것이 실상 그분이 가장 만년에 쓴 책 중의 하나인 ‘아름다운 마무리’이다. 누군가의 표현처럼, 참 쉽게 읽히는 담백한 글쓰기란 생각이 들었다. 삶에 대한 소박하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며 산중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는 문득 내 삶의 모습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물론 그 속에서도 차나 음악과 같이 자신만의.. 2011. 12. 12.
직업으로서의 대리운전 대리운전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가장들의 마지막 탈출구’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우리 시대의 많은 아버지들이 급한 마음에 시작하는 아르바이트 아닌 아르바이트가 바로 대리운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명확히 이 일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는 듯 해 잠깐 포스트를 남겨본다. 사람들이 가장 흔히 묻는 질문은 역시 ‘돈이 되느냐?’는 질문이다. 기본적으로 없는 사람에겐 아쉬우나마 최소한의 생계비는 만들어낸다고 답해야 할 듯하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지는 못했지만 그런대로 개인적인 인터뷰를 해봤던 분들은 대부분이 집안을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라 그런지 최소한의 벌이는 하고 있는 편이었다. 대략 150~200 정도의 수입? 다만, 부가적으로 들어가는 돈이 많다. 약 20%의 수입을 회사에.. 2011.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