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기업을 만나다74 뽕짝 허준의 새로운 도전 직업 모델이란 은근히 시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오늘날 많은 직업들이 새롭게 재해석되고, 재조명된다. 혹시 당신은 한의사란 직업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보통 근엄한 표정의 할아버지(허준에 나왔던 이순재씨 같은 느낌의)를 연상하는가? 그렇다면 여기 이 사람을 한번쯤 눈여겨보아도 좋을 듯 하다. 자신의 개성을 살린 독특한 브랜드로 한의사란 직업의 또 다른 모델을 만들고 있는 일명 ‘뽕짝 허준’ 김오곤 명인한의원 원장이 오늘의 1인 기업인터뷰 주인공이다. Q: 한의원을 운영하는 한의사이면서 대체의학 박사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원장님의 경우는 다른 일이 많으신데... A: 한의원 일은 예약제로 4일간 운영한다. 그 외에 수요일과 목요일 이틀은 강의를 나가고 있다.(실제 이 날도 두 건의 강의가 잡혀 있었다) .. 2012. 2. 4. 직업으로서의 대리운전 대리운전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가장들의 마지막 탈출구’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우리 시대의 많은 아버지들이 급한 마음에 시작하는 아르바이트 아닌 아르바이트가 바로 대리운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명확히 이 일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는 듯 해 잠깐 포스트를 남겨본다. 사람들이 가장 흔히 묻는 질문은 역시 ‘돈이 되느냐?’는 질문이다. 기본적으로 없는 사람에겐 아쉬우나마 최소한의 생계비는 만들어낸다고 답해야 할 듯하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지는 못했지만 그런대로 개인적인 인터뷰를 해봤던 분들은 대부분이 집안을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라 그런지 최소한의 벌이는 하고 있는 편이었다. 대략 150~200 정도의 수입? 다만, 부가적으로 들어가는 돈이 많다. 약 20%의 수입을 회사에.. 2011. 12. 8. 공연(컨벤션)기획자의 세계(설문인터뷰) 1.주로 어떤 일을 하게 됩니까? 공연 기획자는 공연을 기획하여 공연을 하기까지의 전반적인 업무를 다 하게 됩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언제, 어디서, 무엇을(무슨 공연을?), 어떻게(예산), 왜(공연의 목적)를 기초로 기획을 합니다. 우선 어떤 훌륭한 기획도 돈이 있어야 공연을 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예산 수립을 위해 공연과 관련이 있는 업체 및 기관에서 예산 지원을 받도록 합니다.(여기서 주최와 후원이 정해집니다) 예산이 정해지면 공연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타임테이블을 작성하여 순차적으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하드웨어(장소 섭외, 스텝 구성, 배우, 무대 장치,...등등)를 정하고 모든 것이 확정이 되면 가장 중요한 홍보를 시작하게 됩니다. 공연 기획자는 계획을 세우는데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잘.. 2011. 11. 18. 성공적인 창업의 지원자, 창업컨설턴트 이기현 요즘 창업은 세대를 막론하고 화두가 될 수밖에 없는 세상인 것 같습니다. 시니어는 물론이고, 이제 청년들까지 창업이란 화두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세상에서 아주 바쁘게 살고 있는 창업컨설턴트 한 분을 만났습니다. 오늘 인터뷰 대상자는 창업컨설턴트로 활동 중인 이기현님입니다. 질문1) 주로 하시는 일에 대해 설명을 좀 해주시겠습니까? - 대학과 퇴직자 대상, 그리고 대기업 퇴직자 등을 위한 강의와 상담을 진행합니다. 때로 정부의 연구주제와 관련해 정부용역연구를 하기도 하지요.(▷이기현 대표는 창업관련 박사과정을 수료한 상태다) 질문2) 어떻게 이 일에 진입을 하시게 된 건가요? - 공공기관 출신자라 전직지원사업을 통해 컨설팅을 처음 접하게 됐다. 개인적으로는 어머니의 가게가 망해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웠.. 2011. 11. 3.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