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유용합니다33 직업의 미래, 아직은 시스템적 대안이 없다 직업의 미래, 아직은 시스템적 대안이 없다 직업시장의 미래에 대해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실 저 역시 시간이 되면 한번쯤 여기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해 보고 싶었는데 마침 지난 번 경기도의 한 시 지역 고용네트워크 모임에서 이 주제로 강의를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와 관련해 간단히 의견을 정리해 봅니다. 지난 1월, 각종 매체를 통해 앞으로 향후 5년 내에 일자리 500만개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는 세계경제포럼의 보고서를 다룬 내용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타격을 받을 부류를 두 부류로 봤는데요. 바로 사무관리직과 여성층입니다. 이 둘을 종합하면 사무, 관리 직군에 있는 중간임금대의 여성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 원인은.. 2016. 2. 4. 실업급여 개정의 주요 내용 실업급여 개정안이 나왔습니다. 내용이 애~매합니다. 좋은 건지 나쁜 건지 일률적으로 말하긴 어렵습니다만, 아무래도 더 괴로운 건 취업취약계층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몇 가지 변경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실업급여 상한액 인상 개정 전 개정 후 구직급여일액의 50%(상한액 43,000원) 구직급여일액의 60%(상한액 50,000원)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90%(현재 40,176원)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현재 40,176원 수준은 보장 상한액은 높이고 하한액은 내려갔습니다. 여야 간 의견은 다른데, 하한액이 낮춰지면서 저소득층이 좀 아쉬운 입장이 될 것 같습니다 2. 실업급여 수급기간 확장 개정 전 개정 후 최단 90일~최장 240일까지 최단 120일~최장 270일까지 기간이 늘어났습니다. 다만,.. 2015. 10. 15. 노동개혁안 내용 정리 2015년 9월 노사정 대타협안 내용 2015년 9월 13일 노사정위원회가 이른바 노동개혁 대타협이란 걸 만들어 냈습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를 두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노사정 대타협은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우리 스스로 노사상생의 결단을 내린 선제적 대타협이자 노사상생의 의미를 담았다는 측면에서 역사의 한 획을 그은 대타협”이라고 표현을 했다고 하는데요. 결국 어떤 식으로든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노동개혁안의 중심내용을 살짝만 들여다보겠습니다. 먼저 최대쟁점 사안이었던 ‘일반해고’ 우리나라 근로기준법 23조는 근로자의 해고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습니다. 현재 회사측에서 근로자를 해고할 수 있는 방법은 '징계해고'와 '정리해고'의 두 가지 뿐입니다.(물론 암묵적인 것들은 빼.. 2015. 9. 15. 2015년 바뀐 실업급여 내용 2015년 변경된 실업급여 새해 첫 포스팅을 실업급여 관련으로 하네요. 올해는 좀 더 정보가 될 만한 내용들도 많이 싣고 싶어져서 첫 주제를 실업급여로 골랐습니다. 2015년에도 역시나(?) 제도의 일정부분이 바뀌었습니다. 크게 두 가지인데요. 첫 번째는 바로 ‘실업급여의 인상’입니다. 원래 상한액이 하루 4만원이었는데 4만 3천으로 인상이 됐습니다. 28일 기준으로 계산해보니 28일 기준으로 ‘1,204,000원’이더군요. 어쨌든 인상입니다.^^; 두 번째는 ‘1억 이상 고액금품수령자의 실업급여 지불유예’가 폐지된 겁니다. 원래 퇴직금 및 위로금 명목으로 퇴직 시에 총액이 1억을 넘어가면 고액금품수령자라 하여 3개월 간 실업급여의 지불을 유예시켰었는데 이번에 폐지가 됐습니다. 이상 간단히 정리해.. 2015. 1. 7.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