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유용합니다36 5060세대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까닭 5060 세대의 취업증가 이면에 있는 문제들 [지난달 39만8000명의 취업자 증가가운데 92.5%가 506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30세대의 취업자는 되레 줄어들며 구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 결과 올 상반기 전체 취업자중 5060세대의 비중은 2030세대와 거의 비슷해졌다.] (모 지역에서 제가 진행했던 고용지원센터 강의 중 장면, 한 눈에도 50대가 많아 보인다) 이데일리의 7월18일 인터넷 판 기사의 일부다.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고 예상한 일이지만 막상 수치로 보니 새삼스럽다. 2005년 이후 50대에 진입한 베이비부머로 인해 50,60대 인구층이 점점 두꺼워지고 있고, 역시나 경제적으로 넉넉지 않은 우리나라 5060을 감안했을 때 이는 어쩌면 당연한 일일 .. 2014. 7. 18. 실업급여 상한액이 늘어난다네요 실업급여 상한액이 늘어난다네요 저도 간과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확인을 했습니다. 내년부터 실업급여의 상한액이 늘어난다고 하네요. 현행의 경우, 일 최고액이 4만원으로 책정되어 있었는데 이걸 내년부터는 5만원으로 올린다고 합니다. 이에 더해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실업급여 하한액도 최저임금의 80%에 연동시킨다는 겁니다. 단, 이때는 현재 실업급여 최저액 한 달에 112만 5천360원 보다 낮은 경우가 발생하면 현재 수준으로 맞춰 준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최고액이 월 150만원이 되는 셈인가요? 이런 조치의 배경에는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어 왔던 ‘저임금 근로자의 경우, 일을 하지 않고 실업급여를 타는 것이 더 유리하다’라는 상황의 개선이라는 목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합뉴스의 예시를 보.. 2014. 7. 8. 대학도 구조조정? 대학도 구조조정 들어간다 교육부가 모든 대학을 대상으로 정원감축을 단행하는 대학 구조개혁 방안을 내놨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대학을 대상으로 하며, ‘정원감축’과 ‘부실대학 퇴출’이라는양면의 카드를 모두 활용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한 동안 우리네 인식으로는 대학은 ‘무풍지대’에 가까웠는데 이제는 옛 얘기가 된 것 같습니다. 무분별하게 늘어난대학들로선 대학 입학자원이 급감하게 되면서 피할 수 없이 맞이하게 된 운명 같은 시련입니다. 이대로 갈 경우엔 현재의 대입정원(약 56만명)으로는 2018년부터고교졸업자의 수보다 대학정원이 많아진다고 합니다. 최근의 고졸 채용 증가 등 여러 사안을 감안할 때 그냥 저냥 피해가기는 좀 어려워 보입니다. 2013. 10. 25. 취약업종 대기업 30여개사 구조조정 뉴스를 보며 연합뉴스의 대기업 구조조정 관련기삽니다. 또 많은 사람들이 구조조정의 폭풍에 휘말릴듯 합니다. 이제는 상시화 되어 많은 이들이 적응되었을 듯 하지만, 글쎄요....여전히 남의 일과 자신이 맞이하는 일은 다릅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문제가 더 안타까운 것은 이런 변화가 그 대기업 소속 직원들만 당하는 일이 아니란 것입니다. 그나마 조건이 좋은 환경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에 비해서 그 하청업체로 일했던 관련업계 중소기업 근로자들 역시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렇게 연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게 되지요. 그런데, 누구나 반응은 비슷합니다. '왜 내게 이런 일이....'라는 것이지요. 우리는 도대체 어떤 대책들을 갖고 있는 것일까요? ------------------------------------------.. 2013. 7. 9.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