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6

정년퇴직을 앞둔 사람들이 착각하는 3가지 정년퇴직을 앞둔 사람들이 착각하는 3가지 정년퇴직 예비자에 대한 강의를 많이 진행하는 편이다. 대체로 정년 몇 년 전, 특정 연도출생 대상 집단교육이 되는데 우리나라의 상위 기업들은 이런 교육을 진행하는 곳이 많다. 재미있는 것은 해마다 상대적으로 젊어질수록 같은 교육(예를 들어, 퇴직 3년 전 교육 or 5년 전 교육)이라도 분위기는 확연히 다른 것을 알게 된다. 사실 교육을 하건 상담을 하건 대상자들은 출생연도와 회사 분위기, 개인적 특성에 따라 모두 다르다. 그리고 그 와중에도 전체를 관통하는 오해들도 좀 있다. 몇 년 새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정년을 앞둔 살 만한 회사의 퇴직예비자들’이 착각하는 것이 있다. 대체로 다음의 3가지다. 1. 돈만 있으면 노후준비가 끝난 줄 안다 “노후준비 .. 2022. 4. 12.
사람과 직업연구소 1인기업 주말학교 참여자 모집 사람과 직업연구소에서 1인기업 주말학교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1인기업 [사람과 직업연구소 정도영] 대표입니다. 오래전부터 마음에 두고 있던 1인기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코로나 때문에 마음속에만 간직한 채로 벌써 2년이 지났는데 더 늦기 전에 모두가 함께 참여해 공부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1인기업 인큐베이팅 모임입니다. *1인기업 주말학교 참여대상자: 자신의 콘텐츠를 강의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해 1인기업으로 활동하고자 준비 중이거나, 이제 막 시작한 1인기업가 *1인기업 주말학교의 목적: 1인기업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지를 커리큘럼에 따라 배우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연 3000만원~1억원 정도의 수입.. 2022. 4. 6.
직업상담에서 일자리 정보를 찾는 것은 단순한 일일까? 직업상담에서 일자리 정보를 찾는 것은 단순한 일일까? 직업상담 분야에서 일을 하다 보면 간혹 일부 베테랑 컨설턴트들이 ‘일자리 정보 찾기’를 일종의 단순업무로 치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하기야 남 탓 할 것도 없다. 한때 나 역시도 일자리 정보 찾기를 그렇게 보았으니까. 언제부터였을까? 아마도 강의 때문에 필요에 의해 일자리를 구석구석까지 찾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때에야 알았다. 생각보다 많은 다양한 일자리가 있고, 그 정보는 때로 구직자들에게 너무나 절실하게 필요한 것들이란 사실을 말이다. 인터넷이 활성화되고 정보가 모두에게 오픈되는 시대라지만 일자리와 관련된 정보는 여전히 잘 소통이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좋게 말하면 너무 다양해진 정보의 흐름 때문이고, 나쁘게 말하면 곳곳에 복잡한 정보들이 구.. 2022. 3. 30.
노화에 대한 짧은 생각들 노화에 대한 짧은 생각들 -삶의 마지막에 결국 스스로 인생을 평가할 기준은 무엇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그것이 ‘내가 모은 돈’이 될 것 같지는 않다. 실제 수많은 사람들이 죽을 때 찾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게도 자신의 가족들이다. 가장 가까이서 자신과 함께 삶을 해온 사람들, 그렇다면 우리가 어디에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하는지는 분명해진다. 그런데 늘 삶은 아이러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살면서 곧잘 도외시된다. 삶의 마지막에 고독을 느낀다면 그건 결국 그 소홀했던 시간들의 누적이 가져온 결과가 아닐까? -아쉽게도 상당한 다수의 사람들이 삶을 마감하는 장소는 '기승전-요양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살면서 우리는 얼마나 이런 부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일까? 대부분 닥쳐서야 고민하는 상황이다 보니 .. 2022.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