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851

길 위에 산다, 그리고 사람 덕분에 산다 길 위에 산다, 그리고 사람 덕분에 산다 모처럼 조용한 아침을 집에서 맞습니다. 11월은 정신없이 지나온 것 같습니다. 위의 사진은 지난 한 주간의 고속도로 영수증을 대강 모아본 것입니다.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고민이었는데 세무사를 하는 친구가 세금절감 차원에서 하이패스를 추천해 바꾸기로 했습니다. 경기 일대는 물론이고 경남 산청에서 무창포까지 다녀왔습니다. 대상은 학교부터 기업체까지 다양했습니다. 누군가 나의 강의를 들어주고, 그와 관련된 요청을 준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를 새삼 깨닫습니다. 반 프리랜서 형태로 돌아선 후 걱정이 많았지만 생각보다 연착륙을 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 도와주는 분들이 많은 덕분입니다. 감사하고 감사한 일이지요. 바라는 것은 그분들이 내게 도움이 된 것 만큼 저.. 2014. 11. 28.
중장년 취업아카데미 활용하기 중장년 취업아카데미에 대한 생각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중장년층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중장년취업아카데미’ 사업을 8월 훈련생 모집을 시작으로 본격 운영한다. 주요 사업 내용은 ▲생애재설계 멘토링 ▲기본역량 강화교육 ▲기업맞춤형 취업훈련 등이며 훈련에 소요되는 비용은 정부에서 전액 지원한다. 공단은 이번 사업의 본격 시작을 통해 올해 1000여명의 수료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제2의 인생을 설계함으로써 사회의 다양한 부문에서 중년층의 새로운 역할모델로 활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_ 정책브리핑 2014년 8월 19일 온라인 뉴스 일부 발췌 --------------------------------------------------------------------------------- 지난 달 부터.. 2014. 11. 14.
우리 시대에 행복한 사람이 적은 이유 우리 시대에 행복한 사람이 적은 이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아이러니 중 하나는 늘 ‘자신에게 없는 것’을 소망한다는 사실이다. 대부분의 재직자는 퇴직을 꿈꾸고, 그 반대편의 대부분 퇴직자는 재취업을 희망한다.내가 차버린 이성조차 타인의 연인이 되면 더 매력적으로 보이고, 자유를 갈망하던 사람도 자유가 넘치면 그 속에서 허우적거린다.안정적인 직장은 많은 이들의 로망이지만, 정작 안정적인 직장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그 규격화된 삶에 종종 절망감을 느낀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불가용성 효과’라고 한다. 내가 갖지 못한 것이 동일한 조건이라도 더 커 보이는 심리다. 우리는 늘 우리가 가진 것보다 갖지 못한 것에 주목한다. 갖지 못한 것을 비교할 기회는 늘었는데, 가진 것에 감사하는 법은 잊었다. 이것이 우.. 2014. 11. 6.
월간조선 10월호 중년과 은퇴 특집기사 인터뷰 월간조선 10월호에 인터뷰 기사가 나갔습니다. 중장년 대상의 특집기사를 기획했는데 그 중의 일부분입니다. 게으른 탓에 이제야 확인하고 사진을 찍어봤습니다. 아직, 잡지도 구입하지 못했습니다^^; '중년과 은퇴'에 관한 김태완 기자님의 기사로 전화와 서면 인터뷰로 진행했던 건입니다. 관련기사를 꽤 다양한 분들과 인터뷰를 통해 밝혔는데 중장년 직업 문제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한번 참고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2014.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