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846 생애설계전문가 양성과정을 마치고 생애설계전문가 양성교육을 마치고 지난주 토요일로 5주간의 주말반 생애설계전문가 양성과정을 마쳤습니다. 생각보다 경력이 출중하신 분들이 많이 모여 깜짝 놀라기도 했지만 덕분에 저 역시 많이 배운 과정이었던 것 같습니다. 생애설계전문가 과정은 두 가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첫 번째 목표는 스스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균형감을 찾아가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이런 과정을 통해 전문가로서 알아야 할 핵심적인 부분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관련 교육이나 컨설팅을 진행해 가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다양한 통찰도 있었고, 과정에서 스스로 다시 정리가 된 부분도 많았습니다. 돌이켜보니 저 역시 무너진 균형이 꽤 있어서 다시금 고민에 빠지는 시간을 갖기도 했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생애설계를 배우고 활용하는 것은 .. 2020. 8. 13. 젊은 사람들의 초기 경력이 망가지는 이유 젊은 사람들의 초기 경력이 망가지는 원인_공무원이 최고인 시대의 그림자 ‘2020년은 지워버리고 싶은 한 해’란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초반에는 예정된 수많은 일들이 취소가 됐다. 다행히도 내 경우엔 조금씩 회복이 되어가는 상황이지만, 일하는 과정 내내 불안함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늘 조심하고, 신경을 쓴다고는 하지만 누군가의 표현처럼 “이제 코로나에 걸리는 것은 거의 복불복”인 상황이 되다 보니 마음이 편할 리 없다. 사실 이건 나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불안의 시대는 비교적 세상의 변화에 무심하거나 때로 낙관적일 젊은이들조차 쫓기게 만들고 있는 것 같다. IMF 이후 방황할 때 잠시 그런 적이 있었지만 실로 오랜만에 다시 공무원을 부러워해 보기도 했다. 이 시대에 몸은 힘들어도 일은 어쨌든 꾸준히 .. 2020. 7. 20. 전직지원전문가 과정 진행합니다 코로나로 어수선하다는 핑계로, 혹은 이런 상황에서도 마음 추스리며 일을 해야 했던 관계로 한동안 포스팅을 못했습니다. 오늘은 제가 진행하기로 예정된 전직지원전문가 과정에 대해 잠깐 안내를 드립니다. 송파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진행하는 커리어 컨설턴트 양성과정이 있습니다. 그 말미에 제가 진행하는과정도 있는데요. 8월 21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이 되는 전직지원전문가 과정입니다. 평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4시간씩 진행되는 과정입니다. 아주 전형적인 멘트로 마무리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그런데 이번 주까지 마감이라네요~^^;; 2020. 7. 14. 중장년 사무직 퇴직자들의 재취업 사무직 중장년 퇴직자는 어디로 가야 하나?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늘 마음에 걸리는 대상들이 있다. 그 중 역시 고민스럽기로는 1~2위를 다툴 만한 분들이 바로 사무직 중장년, 연령대로는 45세 이상의 퇴직자들이다. 그중 기존 경력은 나름 이름있는 회사에서 중간 관리자급 이상으로 일을 잘 했으나 정작 퇴직 이후로는 선택지가 마땅치 않은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 이들이 특히 이 대상층의 주류다. 기술직이나 현장직의 경우는 어떻게 하더라도 해당 분야로 다시 일을 시작하시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쓰임새가 좀 더 오래가는 것이 사실이니까. 반면에 아시다시피 중장년 사무직을 위한 관리 포지션은 점점 줄고 있는 것이 추세다. 전경련의 2019년 중소,중견기업 중장년 채용계획 및 채용인식 실태조사‘를 보면 중장년 사.. 2020. 6. 19.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