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6

'나만 아니면 된다'고??? 누군가는 수십억의 재산을 곧 물려받는다며 몇 번 망했어도 사는 것에 문제가 없다 한다. 또 누군가는 살아가는 것이 힘에 겨워 상담을 받고 싶어도 전철비가 없어 쉬이 움직이지 못한다 한다. 누군가에겐 삶이 큰 문제없는, 스스로도 인식치 못하는 행운이 받쳐주는 곳이지만, 돈이 없어 풍지박산난 집 꼴이 보기싫어 집에도 잘 들어오지 않는 어린 딸을 떠올리며 걱정하는 늙은 애비에겐 삶이 잔혹하기만 하다. 삶은 각자가 만들어간다는 논리는 너무 냉혹하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세상의 사람들 80%는 평범하게 사는 이들이다. 그러나 세상에 존재하는 논리는 그들에게 20%의 삶을 강요하고 있다. 모자라고 특출날 것 없는 대중은 승자독식의 사회에서 어떻게 살란 말일까? 세상은 부(富)를 향해 끝없이 사람들을 줄세우고, 힘.. 2009. 3. 6.
어떤 일을 하고 살아야 할까? 언젠가 상담 신부님께 내 소명에 대해 조언을 청한 적이 있었습니다. 나는 이렇게 물었지요. “과연 내가 하느님의 부름을 받은 것인지 어떤지, 부름을 받았다면 무엇 때문에 부름을 받은 것인지, 내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그러자 그 분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네가 행복을 느끼는지 어떤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느님이 너에게 하느님과 이웃을 위해 봉사하라고 요구하신다는 생각이 너를 행복하게 해주면, 그것은 네가 하느님의 부름을 받았다는 증거일 것이다.” - 마더 데레사 (1910~1997), 에서 인용- -------------------------------------------------------------------- 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일이나 삶의 방향에 대해 잘 설정했는지 혼란스러워합니다.. 2009. 2. 24.
슬럼프일까? 늘 상담을 하고, 강의를 하고, 때론 잘 난 듯이 얘기하다 보니 대개 사람들의 반응은 '저 사람 좀 똑똑한가?' 아니면 '저 사람 잘 난 척 하네' 인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뭐 개인적으로 컨설턴트가 그리 잘난 사람도 아니고, 무슨 슬럼프도 겪지 않거나 스트레스 없는 이들도 아니다. 늘 아슬아슬하게 삶의 어려운 줄타기를 하는 느낌은 남과 다를 바 없지 않을까? 다만, 하는 일이 이러니 되도록 내가 말하는 바, 주장하는 바는 지키며 살려고 조금 더 노력은 하지만... 최근엔 나도 슬럼프에 들었나보다. 왠지 모르게 힘도 빠지고, 에너지의 부족을 느낀다. 이럴 땐 가끔 나를 객관적 대상으로 두고 코칭을 하기도 한다. 자! 그럼 도대체 네가 느끼는 슬럼프의 원인은 뭔데? 한번 적어보지? 그거 해결방법은 있나? .. 2009. 2. 22.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관찰습관/ 송숙희 저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관찰습관/ 송숙희 著/ 위즈덤 하우스/ 2008년] 오래 전부터 내가 고민하던 문제 중의 하나는 창의력의 실제를 어떤 식으로 사람들에게 트레이닝 시킬 수 있을까하는 것이었다. 창의력과 관련된 몇 가지 이론들을 보았지만 쉽게 알기 힘들고, 복잡한 그들만의 방식에 빠져 있는 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곤 했다. 그나마 한, 두 가지 도움이 되었던 것은 이 책의 말미에 나왔듯이 ‘그리고, 쓰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 정도였다. 이 책은 적어도 창의력에 관한 아주 단순명료하지만 충분히 재미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바로 ‘관찰력’이다. 모든 창의력의 시작은 관찰이라는 것에서부터 싹을 틔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들려주는 관찰력은 단순한 관조(觀照)와는 다르다. 책에서도 수차례 언급이.. 2009.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