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컨설팅

고용시장의 서바이벌에서 살아남는 법

by 사람과 직업연구소 2009. 6. 24.
반응형

어느 날 저녁 퇴근 무렵 고등학교 동창에게서 전화가 왔다.

가끔 얼굴을 봐도 1년에 몇 번 보기 힘들 정도로 서로가 바쁘게 살고 있는 터에 기쁘긴 했지만 친구가 내놓은 이야기의 주제가 무거웠다.

구조조정!

요즘 대한민국 직장인들에게 어쩌면 가장 불편한 단어, 주제가 아니던가.

다행히도 간만에 만난 친구의 얼굴은 나쁘지 않았다. 아마도 그에게 어떤 복안이 있으리라 짐작했지만 나는 엉뚱한 방향으로 그 복안을 짐작하고 있었다.

그 친구의 원래 꿈은 ‘음악을 하는 것’이었다. 언젠가 내가 자영업을 하고 있을 때 가게로 찾아와 친구는 그 꿈을 언뜻 비추었었다.

자신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음악 카페? 혹은 관련 업종 등등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의외로 친구가 내놓은 대안은 ‘이민’이었다.

어머니가 아직 생존해 계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조금은 뜻밖이었다. 원래 나는 이민이란 ‘1세대들의 무덤’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친구와의 대화를 하며 일견 그의 입장을 수긍할 수밖에 없었다. 아마도 이 땅의 40대라면 누구라도 한번쯤은 고민했을 문제들, 바로 ‘자식교육과 노후문제’가 그 발단이었다.

사실 내가 만나는 수많은 중년 남성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불안 요인이 이 두 가지라는 것은 명확하다.

‘자식교육’은 바로 눈앞에 있는 문제로 이미 그 천문학적 소요비용에 대한 증거들은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단순히 돈의 문제만이 아니다. 대개 그럴 수 있다 해도 현재와 같은 교육시스템에 자신의 자식을 마음 편히 맡기고 싶은 부모가 얼마나 될까?

‘노후문제’ 역시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어지간히 사회적 기준에 맞추며 살아 온 분들도 자신들의 남은 기대수명과 현재 자산, 거기에 현재의 고령자 기준의 고용상황을 감안하면 50대 이후는 쉽게 답이 나오지 않는 현실이다.

하물며 보통의 샐러리맨으로 살아 온 친구가, 그것도 40대 초반에 한국에서는 직업수명이 짧디 짧은 IT업계 종사자라는 타이틀을 가진 그로선 원치 않은 퇴직을 두고 많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으리라. 그렇게 나온 결정을 쉽게 왈가왈부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잘 사는 것은 차후의 문제다. 이제는 ‘살아남기’가 지상명제가 됐다.

경기불황, 고용조정, 늘어나는 평균 수명에도 점점 젊어지는 임원 세대(이는 곧 빠른 퇴직 시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미덥지 않은 사회적 안전망 등은 어느 하나 이러한 문제에 명쾌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40대가 이러한 흐름의 가장 중심이라 봐야 할 듯하지만, 이제는 30대, 50대를 가릴 여유가 없어진 듯하다. 20대 역시 ‘인턴세대’, ‘(잡 쉐어링)삭감세대’라 하여 그 여파에 휩쓸리고 있는 것을 보면 현실에서의 위기는 전 방위적이고 광폭(狂暴)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마치 전혀 즐겁지 않은 서바이벌의 현장에 본의 아니게 투입된 셈이다.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 나는 이러한 질문을 하기 전에 그럼 도대체 어떤 이들이 인재시장에서 살아남는지 살펴보고 싶었다.

그리고 얻어 낸 결론은, 절대로 고령자일수록 ‘똑같은 조건으로 고용시장에서 경쟁해선 안 된다’는 것이었다.

이미 고용시장은 20대부터 50대가 뒤얽혀 부딪히는 형국이다. 이 범위는 점점 더 넓어지겠지만 그렇다고 구인에 나이제한이 올해부터 없어졌다 하여 내부적인 감정적 커트라인까지 없어진 것은 아니니 당연히 고령자일수록 이 싸움은 불리하다.

나이가 들었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미 많은 세월 세상을 경험해 왔고, 그 속에서 다양한 무엇인가를 이루어 왔다는 뜻이다. 당신이 만약 40, 50대에 속한 사람이라면 그 동안 ‘이루어 온 것’들로 이 경쟁에 임해야 한다.

그것은 대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자산’이다.

창업도 좋고, 투자도 좋다. 자산이 많은 이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너무나 당연하게도 유리한 위치에 있다. 현금이 나올 수 있는 자산이 있다면 더욱 유리하다. 그런 경우 그들은 굳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일보다 자신들이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일을 돈과 관계없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럴 경우 더욱 돈이 따라오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다만 돈만을 믿고 일을 벌이는 것은 자멸의 단초를 제공한다.  아무리 좋은 도구도 그 활용의 가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법이니까.

둘째, ‘명성’이다.

최근 ‘퍼스널 브랜드(Personal Brand)’가 대유행이다. 퍼스널 브랜드가 무엇일까? 나는 그것을 ‘사회적으로 그 가치가 승인된 개인의 명성, 실력’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때로 이것은 실적이 중심이지만 학위나 기타 다양한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를 포함하기도 한다. 개인의 경쟁력 중 백미가 아닐까 한다.

셋째, ‘인맥’이다.

우리는 인맥의 중요성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인맥은 그저 ‘사람을 많이 아는 것’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나는 그보다 그가 평소 어떻게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미지를 각인시켜 왔느냐’가 인맥관리의 핵심이라 생각한다. 최근 더욱 인재에 대한 추천과 소개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만큼 이 부분을 잘 활용해 왔다면 중년층은 경쟁에서 훨씬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다. 특히나 이는 직급이 올라갈 수록 더욱 그러하다.

넷째, ‘경험’이다.

단, 이때 그 경험은 ‘어떤 식으로든 활용이 가능한 가치 있는’ 경험이라야 한다. 단순한 지식은 되지 않는다. 세상은 너무나 달라졌다. 단순한 지식이 존중받는 시대가 아닌 것이다. 이미 초등학생들의 정보습득 능력은 40, 50대의 대학교 때 능력보다 광범위하다. 필요한 것은 깊이 있는 지식, 삶에서의 응용이 가능한 경험이다. 이런 면에서는 지혜, 혹은 암묵지(暗黙智)라 부를 수도 있겠다.

‘자산, 명성, 인맥, 경험’은 아무래도 젊은 사람들일 수록 약할 수밖에 없다. 물론 최근엔 이마저도 무너지고 있지만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을 기준으로 한다면 40,50대에 속한 당신이 고용시장에서 싸울 수 있는 방법은 이러한 ‘가진 것’들을 활용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만약, 이와 같은 가치 있는 자원들을 전혀 갖추지 못한 경우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경우는 일반론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 이미 준비해야 할 많은 것들을 미처 준비하지 못하고 놓친 상황이니 ‘적극적인 노력, 의지와 행동’외엔 대안이 없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