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컨설팅103 일하는 인생 50년 시대, 경력관리 핵심은? (Part 1) 일하는 인생 50년 시대, 경력관리 핵심은? (Part 1) 우리나라에서 개인이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은퇴하는 연령은 남성은 72세, 여성은 72.2세(2016년 기준)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는 아마도 2019년 정도라면 73세(모든 연령은 만 나이 기준)로 봐야 할 것 같다. 약 9~10년쯤 전에 68세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꽤나 가파르게 올라온 셈이다. 나는 커리어 컨설턴트라는 직업으로 인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컨설팅하고 강의를 한다. 대상 연령층도 직업군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들은 사람 수만큼 개별적인 고민들을 안고 살지만, 무언가 핵심적인 구분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했다. 레빈슨의 성인기 사계절 이론 같은 것도 있었지만 그냥 좀 더 직관적이고 우리사회의 경력관련 현실을 반영해 보면.. 2019. 6. 24. 퇴사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제도 5가지_Part2 퇴사 시 꼭 알아두어야 할 5가지 제도_Part2 요즘 시대를 사는 직장인들에게 퇴사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 같은 것입니다. 때로는 아무 잘못도 없이, 혹은 내 개인적 사정 등으로 퇴사의 이슈는 불거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퇴사는 사표 하나 달랑 낸다고 간결하게 끝나는 문제는 아닙니다. 퇴사를 하면 이래저래 신경 써야 할 것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오늘은 잘 알려진 것들이지만 퇴사 시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적인 제도 5가지를 모아서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 두 번째 이야기. -------------------------------------------------------------------------------------------------------------- 4. 내일배움카드.. 2019. 3. 7. 퇴사 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제도 5가지_Part 1 퇴사 때 꼭 알아두어야 할 5가지 제도_Part 1 요즘 시대를 사는 직장인들에게 퇴사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 같은 것입니다. 때로는 아무 잘못도 없이, 혹은 내 개인적 사정 등으로 퇴직의 이슈는 불거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퇴사는 사표 하나 달랑 낸다고 간결하게 끝나는 문제는 아닙니다. 퇴사를 하면 이래저래 신경 써야 할 것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오늘은 잘 알려진 것들이지만 퇴사 시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적인 제도 5가지를 모아서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 2019. 3. 5. 직장인이 자기 경력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순간 경력은 세 번 빛을 발한다 ‘경력’이란 개인이 쌓아 온 일종의 직업적 역사이다. 그런데 모든 역사가 다 올바른 것은 아니듯이 경력에서도 온갖 잘못된 경력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의외로 직장인들은 경력관리라는 말에 대해 애매모호한 관념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다. 그 실체가 무엇인지도 어떻게 해야 할지도 잘 모르는 것이다. 경력관리란, 좀 쉽게 말하면 결국 경력목표를 설정하고, 경력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실행, 보완하는 일련의 노력을 말한다. 하지만 이 단순해 보이는 명제에도 불구하고 그 실행은 생각보다 과정도 복잡하고, 현실에서 이뤄지는 노력들은 미비한 경우가 많다. 보통 애매하면 영어 공부로 귀결되는 것이 직장인의 경력관리 노하우가 아니던가. 일을 하며 살다보면 잘 관리된 자신의 경력에 대한 가치.. 2019. 1. 6. 이전 1 2 3 4 5 6 7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