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컨설팅103

코로나 시대_직장인의 미래 코로나 시대 속 우리의 미래_ 직장인 편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지난번 자영업자의 미래에 이은 직장인의 미래에 대한 글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친구에게 질문을 한 적이 있습니다. ‘코로나가 우리만 심하고 다른 나라는 괜찮은 경우와 반대로 세상은 난리가 났는데 우리만 괜찮은 경우 어느 것이 나을까?’라고 말이지요. 친구의 대답은 후자가 더 나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적어도 경제에 관한 한은 말이지요. 워낙 코로나 사태가 전 방위적이고 시한도 애매한 사태인지라 모두 당황하고 있습니다만, 어떤 식으로든 전개의 수순은 가닥이 잡힐 겁니다. 그때 직장인들은 어떤 영향을 받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 2020. 3. 25.
누가 내 경력을 망칠까? 직장인들이 곧잘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 ‘오래 하면 전문가’라는 무의식적 자신감이다. 충분히 개연성이 있는 추론이기는 하나, 직업시장을 들여다보면 ‘반드시 그런 건 아니다’라는 생각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기업에서 지금 상당 수준의 연봉을 받는 사람을 한 명 가정해 보자. 만약 그(혹은 그녀)가 현재의 직장을 떠난다면 어떻게 될까? 연령이나 다른 복합적인 문제도 작용하지만 사실 스카우트로 인한 퇴직이 아닌 한 예전에 받던 수준(혹은 그 이상)의 급여를 받기는 쉽지 않다. 이유가 뭘까? 물론 1차적으로 나이를 떠올리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다. 일정 부분 큰 몫을 한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회사에서 당신의 역량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했거나 여전히 큰 돈을 벌어다 주고 있다고 믿는다면? 혹.. 2019. 11. 4.
당신은 어떤 이유로 현재 직업을 선택했나요? 당신은 어떤 이유로 현재 직업을 선택했나요? 직업을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크게 보면 4가지 정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 기준요인들을 좀 알아보지요. 첫 번째는, 역시 우리가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스스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가장 이상적이며 훌륭한 출발점이겠지요. 그렇지만 이상은 이상이고 현실은 현실, 이 선택에는 아주 커다란 장애물이 하나 있습니다. 생각밖으로 인간은 자신의 적성에 대해 이해가 쉽지 않다는 사실이지요. 심리학자 매슬로우조차 ‘인간이 자신을 이해한다는 것은 대단한 심리학적 성과’라는 비슷한 말을 한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실제로 명쾌하게 “나는 이런저런 강점과 흥미가 있어서 그에 맞는 일을 선택하겠습니다”라는 이를 현실에서 만나는 건 그리 흔한 케이스는.. 2019. 7. 16.
일하는 인생 50년 시대, 경력관리 핵심은?(Part 2) 45세까지의 경력가치 상승기 이후 55세까지는 자신의 경력을 유지하는 단계다. 연령은 정확하게 분류하기 힘들다. 정년자들의 예를 들면 경력유지기가 60세까지도 이어진다. 그러나 주된 직장에서 정년까지 이르는 비율은 현저히 낮다. 어지간한 사람들은 55세를 넘기기 힘들다. 이때도 발전가능성이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이 정도 연령대에 자신의 경력에 임팩트를 더할 수 있는 사람은 상당히 소수라고 봐야 한다. 이때는 자신의 경력을 유지하며 전환기를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56세부터 65세 정도까지는 메인 경력 이후 일을 연장하려는 시기다. 중장년층에게 이 시기는 꽤 어려운 과정이 되기도 한다. 과거와는 결별이 힘들고 새로운 상황을 받아 들이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눈높이와 현실이 가장 괴리.. 2019.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