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9 2020년 바뀌는 직업관련 제도들 2020년 바뀌는 직업 분야 관련 제도들 새해 첫 포스팅입니다. 역시 직업이 직업이다 보니 새해에도 직업관련 분야의 제도 변화와 관련된 포스팅부터 시작합니다. 2020년 직업시장에도 크고 작은 의미 있는 변화들이 일어날 예정인데요. 한번 살펴보시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최저임금 인상 역시 최저임금 내용부터 잡고 가야겠죠? 아시다시피 올해 시급은 작년 8,350원에서 8,590원으로 2.9%가 인상됐습니다. 2018년(7530원·16.4% 인상)과 2019년(8350원·10.9% 인상)에 비교하면 격차가 느껴지는 역대 세 번째 .. 2020. 1. 6. 강의를 하고 싶은 사람에게 필요한 3가지 강의를 하고 싶은 사람에게 필요한 3가지 일을 하다가 보면 강의를 하고 싶다는 사람들을 꽤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그 길의 초입에 선 사람에게 진입을 위한 방법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도무지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어떻게 전개해 나가야 할지 명확하게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지요. 이런 분들을 위해 간단히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필요한 3가지를 정리해 봅니다. (이 부분에 대해 상세한 내용은 2020년 4월경 출간될 책 ‘1인 기업으로 살아남기(가제)’에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니 참고하시길...) 첫 번째는 뭐니 뭐니해도 강사로서의 출발점이 될, ‘콘텐츠(Contents)’입니다. 자신이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지, 그것이 대중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무엇으로 시장에서의 다른 사람과 차별화된 내용을.. 2019. 12. 20. 돈으로 살펴본 '보통 한국인' 돈으로 살펴본 ‘보통 한국인’의 모습 가끔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우리는 ‘보통 사람’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예전 모 대통령의 구호로서가 아니라 살다 보면 ‘보통 사람’이란 단어를 많이 쓰곤 하는데 그 정체성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기대하는 ‘보통 사람’이란 정말 ‘보통의 사람’인 걸까요? 갑자기 궁금증이 일어 조사를 해봤습니다. 뭐니 뭐니 해도 가장 궁금해 할 것은 역시 소득의 문제겠지요? 더보기 먼저, 한국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2018년 임금 근로자 소득분위별 연봉 분석에 따르면(2019년 자료는 내년에 나오니 우선은 이것으로), 한국 임금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634만원이라고 합니다. 이 정도가 보통이라면 동의가 되시나요? 혹시 지금 ‘나는 역시 기본도 안되는구나’라며 자책하고 계신 분이 있을지 .. 2019. 12. 13. 중장년이 다른 분야로 재취업이 쉽지 않은 이유 중장년이 다른 분야로 재취업이 쉽지 않은 이유 수많은 분야의 인사담당자, 혹은 관리자들을 만날 때마다 습관처럼 묻는다. 중장년층의 고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냐고...일종의 직업병인 셈이다. 아쉽게도 대개의 대답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이유가 뭘까? 그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조직적응’이다. 중장년의 경우 실제로 다양한 장점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정작 장점들이 조직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는 미담보다 나쁜 케이스들이 더 민감하게 그들에겐 다가오는 것이다.(이건 일정 부분 어쩔 수 없다. 인간은 원래 긍정적인 뉴스보다 나쁜 뉴스에 민감하게 설계되어 있으니까) 어릴 때 기타를 배운 적이 있다. 저렴하게, 그리고 빠르게 배우다 보니 막 배운 셈인데, 나이가 들어 나름 선수분께 기타를 다시 배우려 한.. 2019. 12. 10.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