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6

일하는 인생 50년 시대, 경력관리 핵심은?(Part 2) 45세까지의 경력가치 상승기 이후 55세까지는 자신의 경력을 유지하는 단계다. 연령은 정확하게 분류하기 힘들다. 정년자들의 예를 들면 경력유지기가 60세까지도 이어진다. 그러나 주된 직장에서 정년까지 이르는 비율은 현저히 낮다. 어지간한 사람들은 55세를 넘기기 힘들다. 이때도 발전가능성이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이 정도 연령대에 자신의 경력에 임팩트를 더할 수 있는 사람은 상당히 소수라고 봐야 한다. 이때는 자신의 경력을 유지하며 전환기를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56세부터 65세 정도까지는 메인 경력 이후 일을 연장하려는 시기다. 중장년층에게 이 시기는 꽤 어려운 과정이 되기도 한다. 과거와는 결별이 힘들고 새로운 상황을 받아 들이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눈높이와 현실이 가장 괴리.. 2019. 7. 4.
일하는 인생 50년 시대, 경력관리 핵심은? (Part 1) 일하는 인생 50년 시대, 경력관리 핵심은? (Part 1) 우리나라에서 개인이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은퇴하는 연령은 남성은 72세, 여성은 72.2세(2016년 기준)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는 아마도 2019년 정도라면 73세(모든 연령은 만 나이 기준)로 봐야 할 것 같다. 약 9~10년쯤 전에 68세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꽤나 가파르게 올라온 셈이다. 나는 커리어 컨설턴트라는 직업으로 인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컨설팅하고 강의를 한다. 대상 연령층도 직업군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들은 사람 수만큼 개별적인 고민들을 안고 살지만, 무언가 핵심적인 구분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했다. 레빈슨의 성인기 사계절 이론 같은 것도 있었지만 그냥 좀 더 직관적이고 우리사회의 경력관련 현실을 반영해 보면.. 2019. 6. 24.
유망직업 소개 좀 부탁드립니다? 유망직업, 그게 도대체 뭔가요? 2주쯤 전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한 방송국에서 혹시 ‘유망직업’ 관련 촬영을 해줄 수 있느냐는 연락을 받았다. 일단 드는 선입견 하나, ‘방송국이면 혹시 방송이 원하는 대로 앵무새처럼 전달할 사람이 필요한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얘기를 해봤더니 역시나 유망직업이 거의 이미 정해져서(?) 내게 왔다. 나름대로 고민을 많이 했다는데...조금 이상하긴 했다. 그럴 거면 왜 나를 불렀을까? 순서상 인터뷰할 사람이 먼저 방향을 정하는 게 맞지 않았을까? 현업에서 실제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쉽게 대답이 나올 것 같은데 의외로 대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이 바로 ‘유망직업’에 관한 것이다. 유망직업이 도대체 무어냐는 질문에 답이 어려운 이유는 한 가지 중요한 관.. 2019. 5. 28.
몸이 먼저다_한근태 著 몸이 먼저다/ 한근태 著 책을 말하다> 개인이 만드는 상황은 모든 것을 달리 보게 한다. 몸이 아픈 상황에서 읽는 몸에 관한 글은 구구절절 옳은 소리고 후회와 아쉬움을 남긴다. 이 책은 경영자 출신의 한 1인 기업가가 남긴 몸의 개선에 관한 숙고의 과정에서 얻은 깨달음이다. 한때 역시 몸에 문제가 많았던 사람이 자신의 몸을 개선해 나가면서 제대로 공부를 하고 그것을 통해 삶을 바꾸는 기록과 통찰을 담았다. 읽기 쉽고, 이해하기도 쉽다. 우리는 늘 자신의 몸에 대해 인색하다. 가슴성형을 하고 지방제거를 하는 것은 몸에 대해 베푸는 행위가 아니다. 그저 자신의 마음 속 허상을 채우는 작업일 뿐이다. 진짜로 몸을 채워줄 노력들, 예컨대 운동을 하고 좋은 것을 먹고, 긍정적인 마음을 갖는 일련의 과정들은 지루하.. 2019.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