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 취업과 창업25

영화 '카트', 외면하기 힘든 비정규직의 삶 영화 '카트'에 대한 생각 ‘카트’라는 영화를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런데 썩 보고 싶지는 않았다. 대충 알 것 같은 우리 시대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는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던 탓일까.... 영화에서까지 힘든 이야기를 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있었던 것 같다.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 갈 직업에 대한 고민이 없었다면 아마도 이 영화는 끝까지 보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카트에는 우리가 흔히 무심코 바라보는 직업군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누구나 일상에서 자주 들리는 마트라는 공간을 통해, 그 속에서 일하지만 대개의 사람들에겐 마치 마트의 한 부품처럼 인식되는 캐셔와 청소부 등 비정규직들이 직면한 일과 삶의 위기가 스토리의 중심을 이룬다. 나 역시 곧잘 잊어버릴 때가 있지만 모든 직업인은 한 사람의 인간이다.. 2015. 4. 22.
경력단절여성과 시니어 고용시장에 숨은 인식의 문제 경력단절여성과 시니어 고용시장에 숨은 인식의 문제 “고학력-중장년 여성은 사절”… 경단녀 절반은 취업 실패 http://news.donga.com/3/all/20150223/69745220/1(동아일보 2015/02/23) ​ ​ ​ 일을 하고 싶으나 실제로는 결혼 등의 이유로 장기간 경력이 단절된 이를 일컫는 용어가 경력단절여성, 일명 ‘경단녀’입니다. 주로 우리나라 고용문제의 양대 핵심이랄 수 있는 계층이 시니어와 경력단절 여성인데요. 어느 한 쪽이랄 것 없이 양쪽이 모두 시급한 상황입니다. 사실은 이 두 가지 문제에는 모두 ‘사회적 인식’이라는 기반이 깔려 있습니다. 외국보다 심각한 이유는 시니어는 장유유서 같은 유교적 인식이 고용 시 불편함으로 이어지고, 경단여성의 경우는 육아와 가사는 당연히 여.. 2015. 2. 24.
베트남의 한국인 호텔리어 베트남 호치민 니꼬 사이공 호텔의 호텔리어 여가인 ​ 베트남행의 목적은 원래 관광이 아니었던지라 돌아다닌 여행기는 이쯤에서 종료할까 합니다. 3일차에는 동호치민의 본격 상업거리인 동코이를 중심으로 계속 돌아다녔지만 그보다는 베트남에서 일을 하는 한국 분들과의 이야기를 올려보려 합니다. ----------------------------------------------------------------------------- 첫 번째 인터뷰 대상자는 저희가 묵었던 니꼬 사이공 호텔의 한국인 직원 여가인씹니다. ​ 호텔에 유일한 한국인이라 하시는데 영어가 짧은 저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현재 1년 정도 일을 했다 하시는데 어떻게 하면 이런 곳에서 일을 할 수 있을까를 궁금해 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 같아.. 2015. 1. 22.
누구나 실패는 한다(대학생 취업고민 사례) 대학생 취업컨설팅 사례 한꼭지 대학생 상담을 얼마 전에 몇 건 진행했다. 모 유명대학의 한 친구는 4학년 졸업을 앞두고 휴학을 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었다. 휴학의 이유는 미처 취업과 관련해 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유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영어공부 등....아직 졸업시기가 좀 남았음을 감안하면 굳이 그래야 하나 싶은 이유들이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다행히 그 친구가 속내를 풀어놓기 시작했다. 취업과 관련해 준비를 해야 한다고 했는데 막상 학교의 취업지원센터 한번 이용해 본 적이 없다고 했다. 무엇보다 이 친구를 주춤거리게 만든 것은 ‘주변의 상당한 기대’였다. 그 기대에 비해 자신의 성과가 없을까 봐 두려워했고, 불안한 마음이 실행을 자꾸 가로막았다는 것이다. 학교 졸업을 연기.. 2013.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