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취업과 창업25 영화 '카트', 외면하기 힘든 비정규직의 삶 영화 '카트'에 대한 생각 ‘카트’라는 영화를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런데 썩 보고 싶지는 않았다. 대충 알 것 같은 우리 시대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는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던 탓일까.... 영화에서까지 힘든 이야기를 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있었던 것 같다.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 갈 직업에 대한 고민이 없었다면 아마도 이 영화는 끝까지 보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카트에는 우리가 흔히 무심코 바라보는 직업군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누구나 일상에서 자주 들리는 마트라는 공간을 통해, 그 속에서 일하지만 대개의 사람들에겐 마치 마트의 한 부품처럼 인식되는 캐셔와 청소부 등 비정규직들이 직면한 일과 삶의 위기가 스토리의 중심을 이룬다. 나 역시 곧잘 잊어버릴 때가 있지만 모든 직업인은 한 사람의 인간이다.. 2015. 4. 22. 경력단절여성과 시니어 고용시장에 숨은 인식의 문제 경력단절여성과 시니어 고용시장에 숨은 인식의 문제 “고학력-중장년 여성은 사절”… 경단녀 절반은 취업 실패 http://news.donga.com/3/all/20150223/69745220/1(동아일보 2015/02/23) 일을 하고 싶으나 실제로는 결혼 등의 이유로 장기간 경력이 단절된 이를 일컫는 용어가 경력단절여성, 일명 ‘경단녀’입니다. 주로 우리나라 고용문제의 양대 핵심이랄 수 있는 계층이 시니어와 경력단절 여성인데요. 어느 한 쪽이랄 것 없이 양쪽이 모두 시급한 상황입니다. 사실은 이 두 가지 문제에는 모두 ‘사회적 인식’이라는 기반이 깔려 있습니다. 외국보다 심각한 이유는 시니어는 장유유서 같은 유교적 인식이 고용 시 불편함으로 이어지고, 경단여성의 경우는 육아와 가사는 당연히 여.. 2015. 2. 24. 베트남의 한국인 호텔리어 베트남 호치민 니꼬 사이공 호텔의 호텔리어 여가인 베트남행의 목적은 원래 관광이 아니었던지라 돌아다닌 여행기는 이쯤에서 종료할까 합니다. 3일차에는 동호치민의 본격 상업거리인 동코이를 중심으로 계속 돌아다녔지만 그보다는 베트남에서 일을 하는 한국 분들과의 이야기를 올려보려 합니다. ----------------------------------------------------------------------------- 첫 번째 인터뷰 대상자는 저희가 묵었던 니꼬 사이공 호텔의 한국인 직원 여가인씹니다. 호텔에 유일한 한국인이라 하시는데 영어가 짧은 저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현재 1년 정도 일을 했다 하시는데 어떻게 하면 이런 곳에서 일을 할 수 있을까를 궁금해 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 같아.. 2015. 1. 22. 누구나 실패는 한다(대학생 취업고민 사례) 대학생 취업컨설팅 사례 한꼭지 대학생 상담을 얼마 전에 몇 건 진행했다. 모 유명대학의 한 친구는 4학년 졸업을 앞두고 휴학을 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었다. 휴학의 이유는 미처 취업과 관련해 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유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영어공부 등....아직 졸업시기가 좀 남았음을 감안하면 굳이 그래야 하나 싶은 이유들이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다행히 그 친구가 속내를 풀어놓기 시작했다. 취업과 관련해 준비를 해야 한다고 했는데 막상 학교의 취업지원센터 한번 이용해 본 적이 없다고 했다. 무엇보다 이 친구를 주춤거리게 만든 것은 ‘주변의 상당한 기대’였다. 그 기대에 비해 자신의 성과가 없을까 봐 두려워했고, 불안한 마음이 실행을 자꾸 가로막았다는 것이다. 학교 졸업을 연기.. 2013. 9. 10.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