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9 일과 관계에 대해 떠오른 아침단상들 일, 그리고 관계에 대한 몇 가지 아침단상 --------------------------------------------------------------------------------------------- 하나, (거의) 모든 재직자는 퇴직을 꿈꾸고 (거의) 모든 퇴직자는 재취업을 꿈꾼다. 둘, 모든 구직자가 열심히 일을 찾으리라는 기대는 모든 학생이 열심히 공부하리라는 기대와 같다. 고용시장의 지원정책들은 대부분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구직자를 전제로 한다. 많은 고용정책이 현장에서 잘 들어맞지 않는 이유가 이것이다. 셋, 대부분의 창업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은 “어떤 아이템이 돈이 될까요?”다. 그러나 실상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창업이 나와 가장 잘 맞을까요?”란 질문이 아닐까. 넷, 일이 .. 2018. 10. 3. 청년취업자의 목돈 마련, 청년내일채움공제로 하세요 알쓸알정(알아두면 쓸모 있는 알찬 정보)_1.청년내일채움공제 [요즘 시대에 청년이 돈을 모으기는 정말 쉽지 않습니다. 유사 이래의 스펙을 자랑하면서도 취직이 쉽지 않고, 애초에 학교 때부터 빚을 지고 나오는 청년들의 어려움이 취업과 결혼 등을 거치면서 빚 속에 허덕일 수도 있으니까요. 그러나 그런 와중이지만 확실히 정부의 청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은 한번쯤 꼭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제가 생각하기에 청년의 목돈 마련을 위한 정책으론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아마 최고일 것 같습니다. 많이 알려졌지만 얼마 전 추가개정도 있었고 하여 다시 한 번 짚어봅니다. 이 정책은 원래 2년간 청년 근로자가 300만원 만 모으면 총 1600만원+이자를 목돈으로 되돌려 주는(물론 그 이면은 청년층의 잦은 이직.. 2018. 9. 30. 흔한 직업선택의 기준 3가지 흔한 직업선택의 기준 3가지 “도대체 뭘 해야 할지 확신이 없습니다.” 라는 말은 청년층부터 다시 재취업을 해야 하는 중장년까지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내가 가장 흔하게 들은 말 중 하나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는 사회생활의 시작 시점부터, 일을 하는 도중에, 그리고 어느 시점에선가 직업의 변화를 겪어야 하는 시기까지 직업과 관련해 다양한 선택을 해야 하는데...문제는 이러한 것들에 대한 ‘선택기준’이 없거나 부실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혹시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일을 시작했을 때 어떤 직업선택의 기준을 가졌었는지 기억이 나시는지...의외로 이 부분은 정말 허술한 경우가 많다. 대개 자기기준이 명확치 않은 이들의 흔한 직업선택 기준은 3가지다. 첫 번째는 직업에 대한 '이미지'다. 세상의 모든 직업은 각각.. 2018. 9. 27. 지금 어떻게 일하고 있나요? 일의 신뢰가 무너진다는 것 장면 하나> 지난주는 제주도에서 하반기 국세청 생애설계 교육이 있어 내내 서귀포에 체류를 했습니다. 약 40여 분을 모시고 퇴직 전 생애설계를 겸한 최종 점검 시간을 가졌습니다. [생애설계교육을 진행했던 국세공무원교육원 전경] 비행기는 저가항공으로 주로 이동합니다. 뭐~ 교통비용이 나오긴 하지만 억지로 비싼 걸 타려 노력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살짝 겁이 많은 저는 비행기의 이착륙 때 온갖 상상을 다하게 됩니다. 영화를 많이 본 탓일까요? 한 순간에 스러져 버릴 수도 있는 교통수단은 살짝 촌사람에게 필요 이상의 긴장을 주기도 합니다. 그런데, 늘 느끼지만 저가항공사라도 기장님들의 이착륙 기술력은 만만치 않은 듯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이 걸린 일을 하다 보.. 2018. 9. 18.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