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들을 위한 커리어 컨설턴트의 Tip: 한번은 일에 빠져야 한다
신입사원 때의 나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어중간함’이다.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도 거의 없었고, 그렇다고 꾀를 피워 편안하게 있어야겠다는 생각도 그다지 없었던 것 같다.
그냥 직장을 구해야 할 나이가 되니 일을 선택했고,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분야의 일에서 ‘돈’이라는 요소와 ‘직장동료들’이라는 요소 정도만 신경이 쓰였을 뿐, 앞으로의 내 미래라든가, 무엇을 어떻게 해서 경력을 만들어보겠다는 생각 따위는 없었다.
당시 내가 다니던 직장에 만연한 것은 오히려 술 문화, 여가로 모여 포커를 치는 문화(?) 정도였고, 그다지 진지한 미래를 얘기해주는 선배도 없었다.
“빨리 그만 두라”는 말을 해 준 선배는 있었지만 그것이 진지한 조언이 아니었다고 느껴지는 것은 일말의 진심이 있었을지언정 신입이 알아들을 만한 조언은 아니었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생각이 나는 대로, 어쩌면 구시대의 유물이 된 마인드일지 모르지만 조금씩 생각을 정리해 올려보려 한다. 이른바 [신입사원들을 위한 커리어 컨설턴트의 Tip]이다. 뭐 잔소리로 들리는 분은 패스해도 좋다. 그 수많은 직장의 임직원들을 만나며 조금씩 누적된 생각이지만, 모든 조언이 그러하듯 ‘누군가에겐 맞고 누군가에겐 틀릴 수도 있는 얘기’이니 각자가 선별하시기 바란다.
------------------------------------------------------------------------------------------------------------------------------------
<1>한 번은 일 속에 빠져야 한다
왜 첫 번째 생각이 이것이었는지 모르겠는데...‘한 번은 일에 빠져야 한다’란 생각이 먼저 떠올랐다.
이 얘기는 뭘까? 당연하게도 자신의 직업에서 성장을 하고 싶다면 한 번쯤은 일 속으로 깊어 들어가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늪처럼 자신을 힘들게 할지라도...
일을 잘 한다. 혹은 일머리가 있다는 등의 얘기를 듣기 위한 전제조건은
결국 ‘일과 관련한 경험이 얼마나 풍부한가’에서 결정이 난다.
신입사원들을 볼 때 아쉬운 것은 처음에 열정이 넘쳐나는 시기에 이런 경험을 제대로 해보지 못하면 나중에도 스스로를 불신하는 ‘물경력’ 같은 소리를 남발하는 존재가 되기 쉽다는 것이다.
그런데 물경력은 누가 만드는 걸까? 당연히 주체는 ‘자기 자신’이다.
누군가는 환경도 안 받쳐주고, 사람도 안 받쳐준다며 억울해 할 수 있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결국 그런 환경을 선택한 것도 자신이고, 그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누군가는 의미 있는 경력을 만들어 내고, 누군가는 빈손으로 나온다.
지금 그 물경력의 현장을 바로 그만두고 떠날 것이 아니라면, 그 과정에 있는 동안 내가 손에 쥘 수 있는 최선은 무엇인지를 한번은 살펴봐야 한다.
떠날 용기도 없고, 과정에서 뭔가를 건져 올릴 열의도 없을 때 우리는 자신을 비틀어 버린다. ‘세상이, 조직이 나를 알아주지 않고, 받쳐주지 않는다’는 스스로도 납득하기 어려운 억울함을 바탕으로 냉소적인 인간이 되는 것이다.
나는 현장에서 꽤 많은 케이스를 목격했다. 세상을 비웃는 듯한 냉소로 결국 자신의 미래를 먼저 깎아 먹는 사람들을 말이다.
불평하지 말라는 얘기가 아니다. 정말 아니라면 버리고 다른 길을 찾는 용기가 필요하다. 도저히 그럴 상황이 아니라 머물러야 한다면, 개선까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내게 의미 있는 무언가를 한 가지쯤은 쥐고 나올 의지는 갖고 있어야 한다.
이것도 저것도 하지 못할 때 우리는 조직의 분위기를 망가뜨리는 또 한 명의 방조자가 된다.
입사한 지 한 달 만에 만났을 때, “아직도 다니고 있냐?”라는 무책임한 말을 던졌던 예전 내 직장의 선배처럼 말이다.
<2>누군가의 착각
한번은 일 속으로 깊이 들어가 보자. 그래서 내 일을 한번 제대로 장악해보자. 청춘의 시기는 그만한 에너지가 받쳐줄 수 있다. 이때 제대로 된 경력을 만들어야 한다.
환경이고 사람이고 마음에 안 든다면 ‘일만 보자’.
나는 일을 잘 하는 사람이 일하는 현장에서 욕을 먹는 경우를 그리 많이 보지 못했다. 없다고는 못하겠지만 그것이 흔한 케이스라고 하는 것은 더 이상해 보인다.
‘일을 잘 한다고 믿는’ 것과 ‘일을 잘 한다고 평가받는’ 것의 차이는 크다.
Tip이 될지는 모르지만, 사람은 늘 자신에 대한 평가가 후하다. 2018년 3월 잡코리아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73.3%가 나는 핵심인재라고 대답했다. 회사가 오해했든, 당사자가 오해했든 누군가는 오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여담이지만, 내가 핵심인재인지를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 바로 구직시장에 나가보는 것이다. 시장에서의 내 가치를 보면 바로 답이 나온다.
그게 자신이 없다면 적어도 시장관점의 핵심인재는 아닌 것이다.
'청년 취업 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설턴트가 면접의 성공률을 높이려면? (2) | 2024.01.16 |
---|---|
학생들의 자기소개서에 흔히 드러나는 5가지 문제점 (0) | 2021.11.12 |
그 회사엔 왜 들어간 겁니까? (0) | 2021.03.30 |
젊은 사람들의 초기 경력이 망가지는 이유 (0) | 2020.07.20 |
취업의 노하우, 진짜를 찾는 법 (0) | 2018.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