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준비8 나 혼자 뽑아 본 '노후 행복에 필요한 7가지' 나 혼자 뽑아 본 ‘노후 행복에 필요한 7가지’ 무엇 무엇을 위한 ~가지 같은 것들이 많다. 그래서 그러려니 했는데 어제 문득 ‘나이 들어서 나는 행복해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라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생애설계, 은퇴준비’적인 관점이 아니라 상식적이고도 개인적인 차원에서 말이다. 그런데 결국 생애설계나 은퇴준비의 관점과 유사한 부분이 많긴 하다는 게 함정이긴 하지만... 그렇게 뽑아봤더니 7가지가 나왔다. 더보기 1. 일은 조금씩이라고 꾸준히 할 생각이다. 나이가 든다고 일을 손에서 놓는다면 그다지 삶이 재미있을 것 같지 않다. 일을 해야 존재감을 스스로 느낄 수 있고 삶의 의미를 잃지 않을 것 같다. 더보기 2. 가족과 친구, 내 주변 사람들과의 인간적인 교류에 노력을 할애한다.. 2021. 7. 31. 노후생활비 300만원 준비하기 3_60세 이후 어떻게 월소득 300을 만들까? 노후 생활비 300만 원 준비하기. 3 60세 이후 어떻게 월 300만 원을 벌까? 먼저 한 가지를 짚고 넘어가자. 혹여 오해가 있으실까 하여 미리 얘기하지만 나는 재무 전문가가 아니다. 직업 쪽을 다루는 전문가이고, 한편으로 생애설계의 측면에서 이를 다루는 사람이라 잠깐 언급하지만, 그것보다는 보통의 노후를 준비하는 한 사람의 글로 편하게 봐주시면 좋겠다. 노후 생활비를 준비하는 것에는 크게 두 가지 관점이 있는 것 같다. 첫 번째는 ‘자산관점’, 흔히 “노후를 대비하려면 자산이 10~20억은 있어야 합니다” 같은 주장이 그것이다. 대부분 초창기 금융권에서 흘러나온 얘기 같은데...이 주장대로라면 우리에게 희망은 별로 없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 어떨지 모르지만 이게 기준이라면 ‘나와 내 주변.. 2021. 1. 3. 노후 생활비 300만원 준비하기 2_수입과 지출의 관리 노후 생활비 300 준비하기 2_수입과 지출의 관리 노후 생활비 300만 원 만들기의 첫 번째 행보는 뭐니뭐니해도 수입과 지출의 관리에서 시작한다. 다른 의견도 있을 수 있겠으나 대부분 전문가들은 이 부분을 시작점으로 잡는 것 같다. 하기야 돈 관리에서 최악은 ‘버는 것보다 더 쓰는 것’이고, 이렇게 되면 어떤 미래도 기대하기 힘든 것이니 어쩌면 너무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익히 알다시피 이게 말처럼 쉽지 않다. 2년 쯤 전인가? 가까운 친구에게서 재무 컨설팅을 받았다. 어찌어찌해야 한다는 가이드를 꽤 확실히 받았음에도 거의 실천을 못 하고 있다. ‘수입의 일정 부분을 먼저 저축하고 남는 돈으로 지출을 정확하게 쪼개 쓴다’는 것이 핵심인데... 실천이 되지 않는 이유는 내 경우 크게 두 가지 때문이다. .. 2020. 9. 7. 노후 생활비 300만원 준비하기 1 노후 생활비 300만 원 준비하기 1 최근 발간한 네 번째 책, [창업비용 2만원, 1인기업으로 살아남기]에도 나오지만 나의 청년기는 방황의 연속이었다. 수많은 직업에 도전하고 좌절하며 스스로에 대한 회의와 싸워야 했다. 그러니 노후에 대한 문제는 생각도 못 할 다른 차원의 문제였다. 시간이 흘렀다. 내 나이도 이제 50을 넘어섰고, 세월은 은근슬쩍 내게 “너도 노후를 준비해야 하지 않느냐?”고 윽박지른다. 다행히 그동안 나는 일에서 안착을 했다. 큰돈을 번 것은 아닐지라도 일에서 어느 정도의 계산이 서는 상황이고, 노후라는 것을 생각할 여력이 생겼다. 더보기 노후준비는 보통 재무적인 부분과 비재무적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재무적인 부분에 초점이 꽂혀 있는데 실은 꽤 위험한 발상.. 2020. 9. 2. 이전 1 2 다음